월하점
월하점의 개발 공부 일지
월하점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96)
    • Back-end (3)
    • PROJECT (1)
    • CS (15)
      • Operating System (0)
      • Network (4)
      • Data Structure (7)
      • Algorithm (0)
      • Database (4)
    • Problem Solving (52)
    • Programming Languages (1)
      • Javascript (0)
      • Python (1)
      • JAVA (0)
    • Codestates BEB 4기 (7)
    • Blockchain (12)
    • Linux (2)
    • Git (1)
    • 잡다한 (2)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node.js
  • 알고리즘
  • django
  • javascript
  • 네트워크
  • CS
  • Python
  • 자료구조
  • SWEA
  • baekjoon
  • 프로그래머스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월하점

월하점의 개발 공부 일지

  • HOME
  • GUEST
  • WRITE
Problem Solving

[백준] 13023 - ABCDE in 파이썬

2022. 9. 30. 23:26

문제 출처

 

13023번: ABCDE

문제의 조건에 맞는 A, B, C, D, E가 존재하면 1을 없으면 0을 출력한다.

www.acmicpc.net

 

문제

BOJ 알고리즘 캠프에는 총 N명이 참가하고 있다. 사람들은 0번부터 N-1번으로 번호가 매겨져 있고, 일부 사람들은 친구이다.

오늘은 다음과 같은 친구 관계를 가진 사람 A, B, C, D, E가 존재하는지 구해보려고 한다.

  • A는 B와 친구다.
  • B는 C와 친구다.
  • C는 D와 친구다.
  • D는 E와 친구다.

위와 같은 친구 관계가 존재하는지 안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 

입력

첫째 줄에 사람의 수 N (5 ≤ N ≤ 2000)과 친구 관계의 수 M (1 ≤ M ≤ 2000)이 주어진다.

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는 정수 a와 b가 주어지며, a와 b가 친구라는 뜻이다. (0 ≤ a, b ≤ N-1, a ≠ b) 같은 친구 관계가 두 번 이상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.

출력

문제의 조건에 맞는 A, B, C, D, E가 존재하면 1을 없으면 0을 출력한다.


문제 풀이

처음에 문제가 요구하는 바가 이해되지 않았는데, 입출력 예시를 손으로 그려보면서 이해할 수 있었다.

 

문제가 요구하는 관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.

1. 한번 방문한 노드는 재방문하지 않고
2. 5개의 노드를 끊기지 않고 이어서 탐색할 수 있다면 ABCDE관계가 존재한다(1)
3. 만일 그런 경우의 수가 없다면 ABCDE관계는 존재하지 않는다(0)

즉, depth 를 탐색하는 문제인 것이다.

 

관계의 특성상 DFS로 구현해야 쉽게 끝날 것 같아서 재귀 DFS로 구현했다.

 

여기서 주의할 점은 시작 노드에 따라 답이 다르게 나온다는 것이다.

따라서 어느 경우의 수에 답이 나올지 모르므로 0 ~ n-1 까지 반복해서 dfs 를 실행시켜줘야 한다.

또한 답을 찾지 못하면 다음 dfs를 대비해 visited 배열을 초기화시켜주는 것도 포인트이다.

만일 반복문 안에서 depth == 4를 발견하면 바로 exit() 해주고, (5개 노드 방문의 depth는 4이기 때문)

반복문이 끝날 때까지 종료되지 않았다면 이는 관계가 존재하지 않다는 뜻이므로 0을 출력해준다.

 

작성 코드

import sys
sys.setrecursionlimit(10000)
input = lambda: sys.stdin.readline()

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
friends = [[] for _ in range(n)]
visited = [False] * n

for _ in range(m):
    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    friends[a].append(b)
    friends[b].append(a)

def dfs(idx, count):
    if count == 4:
        print(1)
        exit()
    next = friends[idx]
    for i in next:
        if not visited[i]:
            visited[i] = True
            dfs(i, count + 1)
            visited[i] = False

for i in range(n):
    visited[i] = True
    dfs(i, 0)
    visited[i] = False

print(0)
실행결과: 1188ms
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(새창열림)

'Problem Solv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백준] 6064 - 카잉 달력 in 파이썬 (두 가지 풀이)  (1) 2022.09.20
[백준] 1748 - 수 이어쓰기1 in 파이썬  (0) 2022.09.19
[백준] 2193 - 이친수 in 파이썬  (0) 2022.09.05
[백준] 10844 - 쉬운 계단 수 in 파이썬  (0) 2022.09.05
[백준] 15990 - 1, 2, 3 더하기2 in 파이썬  (0) 2022.09.04
    'Problem Solv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백준] 6064 - 카잉 달력 in 파이썬 (두 가지 풀이)
    • [백준] 1748 - 수 이어쓰기1 in 파이썬
    • [백준] 2193 - 이친수 in 파이썬
    • [백준] 10844 - 쉬운 계단 수 in 파이썬
    월하점
    월하점
    개발 공부를 기록합니다. 웹을 위주로 공부하며 컴퓨터과학 이론도 함께 정리할 계획입니다.

    티스토리툴바